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스위칭

Etherchannel

by CBROJIN 2024. 11. 17.

Etherchannel 실습 토폴로지

 

[실습목표]

1) Etherchannel은 왜 필요한가?

2) Etherchannel 구성 가이드 라인

3) Etherchannel 모드와 동작방식

 

 

1) Etherchannel은 왜 필요한가?

이더채널(EtherChannel)은 여러 물리적인 이더넷 링크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링크로 묶는 기술입니다. Cisco에서 처음 개발된 이 기술은(PAgP) IEEE 802.3ad 표준(LACP)으로 확장했다. 이더채널은 링크 집합을 하나의 논리적 링크로 처리하며,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대역폭 확장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단일 링크로는 요구 대역폭을 처리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더채널을 사용하면 여러 개의 링크를 병렬로 묶어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다.

ex) 1Gbps 링크 4개를 묶으면 총 4Gbps의 대역폭 제공.

 

2. 링크의 부하 분산

단일 링크로 모든 트래픽이 전송될 경우, 한쪽 링크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더채널은 트래픽을 묶인 링크 사이에서 분산시켜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인다.

 

3. 링크 가용성 및 안정성 향상

단일 링크 장애 시 네트워크 연결이 단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더채널은 다중 링크 중 하나가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링크로 트래픽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가용성을 유지한다.

 

4. 관리 간소화

여러 개의 링크를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기 때문에 관리가 간편해진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은 이더채널을 하나의 링크로 인식하므로, STP 계산이 단순화 된다.

 

2)  이더채널의 구성 가이드라인

 

EtherChannel을 구성할 때 다음 지침과 제한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 EtherChannel 지원: 모든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EtherChannel을 지원해야 하며, 물리적으로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 속도와 이중화(duplex): 모든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속도와 이중화 모드로 설정해야 한다.
  • VLAN 일치: EtherChannel 번들 내 모든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VLAN에 속하거나 트렁크로 설정되어야 한다.
  • VLAN 범위: 트렁킹 EtherChannel에서는 모든 인터페이스에서 허용 VLAN 범위가 동일해야 한다. 범위가 다르면 auto/desirable 모드여도 EtherChannel이 형성되지 않는다.

설정을 변경해야 할 경우, 포트 채널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구성한다. 포트 채널 인터페이스에 적용된 설정은 모든 구성원 인터페이스에 반영되지만, 개별 인터페이스에 적용한 설정은 포트 채널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EtherChannel 링크의 일부 인터페이스를 개별 변경하면 호환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포트 채널은 액세스 모드, 트렁크 모드(가장 일반적), 또는 라우티드 포트로 설정할 수 있다.

 

3)  이더채널의 모드와 작동방식

1. 수동 모드(Static Mode)

두 장치가 서로 협상 없이 정적으로 이더채널을 구성.

단순하지만 자동 협상이 없으므로 설정 오류 위험이 있음.

상대 스위치도 on 모드로 설정해야 한다.

 

SW2(config)#int range e0/2-3
SW2(config-if-range)#no switchport

SW2(config-if-range)#channel-group 24 mode on

설정 후(SW4 e0/2-3 도 같은 설정)

SW2#show etherchannel summary 로 확인해 보면 아래 그림처럼 확인해 볼 수있다.

SW2

Po12완 다르게 Protocol란에 아무것도 없는 모습이다.

 

 

2.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IEEE 802.3ad)

링크 상태를 동적으로 협상하며 이더채널을 구성.

활성 모드(Active)와 수동 모드(Passive)를 통해 협상 가능.

 

SW1(config)#int range e0/2-3

SW1(config-if-range)#switchport mode access 

SW1(config-if-range)#switchport access vlan 13

SW1(config-if-range)#channel-group 13 mode active

설정 후(SW3 e0/2-3도 같은설정 , mode는 active/passive 다 가능)

Po13을 보면 LACP로 설정 된 모습이다

 

3. PAgP(Port Aggregation Protocol)

Cisco 독점 프로토콜로, 동적으로 이더채널을 구성.

활성 모드(Desirable)와 수동 모드(Auto) 사용.

 

SW1(config)#int range e0/0-1
SW1(config-if-range)#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W1(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SW1(config-if-range)#channel-group 12 mode desirable 

(2. LACP 사진 참조)

 

4. EtherChannel 검증

네트워크 장비를 구성할 때는 항상 설정을 검증해야 하며,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EtherChannel 검증에는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 show interfaces port-channel: 포트 채널 인터페이스의 일반 상태를 표시. 예시에서는 Port Channel 1이 up 상태.
  • show etherchannel summary: 장치의 모든 포트 채널에 대해 간단한 상태를 한 줄씩 표시. 예시에서는 그룹 1이 LACP를 사용하고, FastEthernet0/1과 0/2로 구성되며, Layer 2 EtherChannel이 활성 상태(SU)임을 나타냄.
  • show etherchannel port-channel: 특정 포트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 예시에서는 Port Channel 1이 두 개의 물리 인터페이스로 구성되고 LACP active 모드를 사용.
  • show interfaces <인터페이스> etherchannel: 해당 인터페이스가 어떤 EtherChannel에 속하는지, 역할, 프로토콜(LACP 또는 PAgP) 등을 표시.

 

이더채널 포트는 물리포트를 논리적으로 하나로 묶는 것이기 때문에 물리포트 설정(route,svi,access,trunk 등)을 모두 이어 받는다. 따라서 이더채널 설정 후 포트를 수정시 

SW1(config)#int port-channel 13

위 처럼 포트채널에 들어가서 수정해야 한다.

 

 

 

'네트워크 > 스위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3) 2024.11.20
HSRP(Hot Standby Routing Protocol)  (4) 2024.11.19
MST(Multiple Spanning Tree)  (5) 2024.11.09
RSTP(Rapid-Spanning Tree Protocol)  (2) 2024.11.07
STP(Spanning Tree Protocol)  (6) 202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