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OSPF #3(Summarization,Authentication)

by CBROJIN 2025. 4. 2.

[학습 목표]

1) OSPF 축약(Summarization)

2) OSPF 인증(Authentication)

 

OSPF 실습 설정
기본 설정
R1(config)#int e0/0
R1(config-if)#ip add 1.1.1.12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R1(config)#int lo0      
R1(config-if)#ip add 1.1.11.1 255.255.255.0
R1(config)#router ospf 1
R1(config-router)#router-id 1.1.11.1
R1(config-router)#network 1.1.11.1 0.0.0.0 area 1
R1(config-router)#network 1.1.1.12 0.0.0.0 area 1
R1(config)#int e0/0
R1(config-if)#ip ospf netwrok point-to-point

축약 설정
R1(config)#int lo7
R1(config-if)#ip add 7.7.7.7 255.255.255.0
R1(config-if)#ip add 7.7.6.7 255.255.255.0 secondary
R1(config-if)#ip add 7.7.5.7 255.255.255.0 secondary
R1(config-if)#ip ospf network point-to-point
R1(config-if)#exit
R1(config)#router ospf 1
R1(config-router)#network 7.7.4.0 0.0.3.255 area 1

기본 설정
R2(config)#int e0/0
R2(config-if)#ip add 1.1.1.21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2(config-if)#int e0/1
R2(config-if)#ip add 1.1.2.23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2(config)#int lo0
R2(config-if)#ip add 2.2.22.2 255.255.255.0
R2(config)#router ospf 1
R2(config-router)#router-id 2.2.22.2
R2(config-router)#network 2.2.22.2 0.0.0.0 area 0
R2(config-router)#network 1.1.1.21 0.0.0.0 area 1
R2(config-router)#network 1.1.2.23 0.0.0.0 area 0
R2(config)#int range e0/0-1
R2(config-if)#ip ospf netwrok point-to-point

축약 설정
R2(config)#router ospf 1
R2(config-router)#area 1 range 7.7.4.0 255.255.252.0
R2(config-router)#default-information originate always
기본 설정
R3(config)#int e0/1
R3(config-if)#ip add 1.1.2.32 255.255.255.0
R3(config-if)#no shut
R3(config-if)#int e0/2
R3(config-if)#ip add 1.1.3.34 255.255.255.0
R3(config-if)#no shut
R3(config)#int lo0
R3(config-if)#ip add 3.3.33.3 255.255.255.0
R3(config)#router ospf 1
R3(config-router)#router-id 3.3.33.3
R3(config-router)#network 3.3.33.3 0.0.0.0 area 0
R3(config-router)#network 1.1.2.32 0.0.0.0 area 0
R3(config-router)#network 1.1.3.34 0.0.0.0 area 2
R3(config)#int range e0/1-2
R3(config-if)#ip ospf netwrok point-to-point
기본 설정
R4(config)#int e0/2
R4(config-if)#ip add 1.1.3.43 255.255.255.0
R4(config-if)#no shut
R4(config)#int lo0
R4(config-if)#ip add 4.4.44.4 255.255.255.0
R4(config-router)#router-id 4.4.44.4
R4(config-router)#network 4.4.44.4 0.0.0.0 area 2
R4(config-router)#network 1.1.3.43 0.0.0.0 area 2
R4(config)#int e0/2
R4(config-if)#ip ospf netwrok point-to-point

축약 설정
R4(config)#int lo14
R4(config-if)#ip add 14.14.14.14 255.255.255.0
R4(config-if)#ip add 14.14.15.14 255.255.255.0 secondary
R4(config-if)#exit
R4(config)#router ospf 1
R4(config-router)#redistribute connected subnets
R4(config-router)#summary-address 14.14.14.0 255.255.254.0

1) OSPF 축약이란?

용어 설명
LSA (Link-State Advertisement) 라우터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OSPF 메시지
ABR (Area Border Router) OSPF Area 간 경계를 잇는 라우터 (두 개 이상의 Area에 속함)
ASBR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 OSPF 외부에서 경로를 가져오는 라우터 (예: BGP, Static 연결 등)
Inter-Area OSPF 내부(영역 간)에서 일어나는 라우팅 정보 교환
External OSPF 외부 네트워크 정보 (type 5, type 7 LSA)

 

내부 축약 (Inter-Area Summarization)

  • 내부 축약이란, ABR가 OSPF 여러 내부 영역에서 들어오는 라우팅 정보를 요약(Summarize) 해서 다른 영역으로 전파하는 방식입니다.
  • 예: Area 1에 여러 네트워크가 있을 때, Area 0으로 전파할 때 이걸 한 줄로 요약해서 보내는 것

🔎 이유 및 장점

  • 라우팅 테이블 간소화: 요약된 하나의 경로로 정리
  • LSDB 크기 감소: 불필요한 LSA 수 줄임
  • 자연재해 효과 감소: 하나의 요약 경로가 다운되더라도 전체 경로 영향 방지

🔎 실습

R3 OSPF 테이블

설정 후 R3에서 OSPF 테이블을 본 사진이다.

 

R1(config)#int lo7
R1(config-if)#ip add 7.7.7.7 255.255.255.0
R1(config-if)#ip add 7.7.6.7 255.255.255.0 secondary
R1(config-if)#ip add 7.7.5.7 255.255.255.0 secondary

R1(config)#router ospf 1
R1(config-router)#network 7.7.4.0 0.0.3.255 area 1

# loopback interface에 여러개의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할 수 있는데, secondary 명령어를 넣어야 한다.

넣지 않을경우 마지막에 입력된 네트워크 주소 하나만 덮어 씌어진다.


축약 설정 후 R3 OSPF 테이블

 

OSPF 축약은 에어리어 단위로 하기 때문에 Area 1의 ABR인 R2에서 OSPF 축약 설정을 입력한 후 R3 OSPF 테이블이다.

 

R2(config)#router ospf 1
R2(config-router)#area 1 range 7.7.4.0 255.255.252.0

# 7.7.5.7 , 7.7.6.7 , 7.7.7.7 을 순서대로 이진수로 표기하면

00000111.00000111.000001|01.00000111

00000111.00000111.000001|10.00000111

00000111.00000111.000001|11.00000111

왼쪽에서 부터 22bit 까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고, 3번째 옥텟 2bit를 추가적으로 호스트 주소로 사용하기 때문에

00 , 01 , 10, 11 순서대로 4,5,6,7 이 포함된 7.7.4.0 255.255.252.0 로 축약했다.


Area 1 의 ABR R2에서 본 OSPF 테이블

빨간네모 안에 Null0 표시를 볼 수 있는데, 알고 있는 경로를 제외한 패킷은 Drop 시킨다는 의미이다.

이를 통해 라우팅 루프나 잘못된 전달을 방지한다.


 

외부 축약 (External Route Summarization)

  • ASBR가 외부에서 학습한 경로 (예: Static, BGP 등)를 OSPF 내부로 요약해서 광고하는 방식입니다.
  • 내부 영역에서는 외부 경로를 하나의 요약된 경로로 보게 됩니다.

🔎 이유 및 장점

  • 외부 LSA (type 5) 수 감소
  • 라우팅 테이블 단순화
  • 효율적인 경로 광고 및 안정성 증가

🔎 실습

R1에서 본 OSPF 테이블

R4 ASBR에서 외부네트워크를 OSPF 재분배 후 R1에서 OSPF 테이블을 확인한 모습이다.

 

R4(config)#int lo14
R4(config-if)#ip add 14.14.14.14 255.255.255.0
R4(config-if)#ip add 14.14.15.14 255.255.255.0 secondary

R4(config)#router ospf 1
R4(config-router)#redistribute connected subnets


 

축약 후 R1 OSPF 테이블

R4 ASBR에서 외부네트워크를 축약 후 R1 OSPF 테이블 모습이다.

 

R4(config-router)#summary-address 14.14.14.0 255.255.254.0

# ASBR는 외부 라우팅을 OSPF로 가져오므로 외부 네트워크 정보를 그대로 유지 해야 하기 때문에 서브넷 마스크 사용.

ABR는 내부 라우팅 요약이므로 OSPF 내부 논리를 사용 하기 때문에 축약할 때 와일드카드 마스크 사용

즉, 내부에서 요약 "조건"은 와일드 마스크로 설정하지만, ABR에서 광고 자체는 서브넷 마스크 기반으로 LSA에 실려 전송.

이유는 OSPF LSA 포맷에서 네트워크를 표현하는 방식이 서브넷 마스크 기반이기 때문이다.

 


 

디폴트 루트 (Default Route in OSPF)

  • 디폴트 루트(0.0.0.0/0)는 목적지를 모를 때 사용하는 기본 경로
  • OSPF에서는 ABR 또는 ASBR가 default route를 다른 영역 또는 전체 OSPF에 광고할 수 있음

🔎  사용 이유

  • 인터넷 접속 시 모든 트래픽을 ASBR로 보내기
  • 작은 지사 라우터에서 전체 경로 정보를 받을 필요 없을 때

🔎  실습

R1 OSPF 테이블

Area 1 ABR인 R2에서 OSPF 드폴트 루트를 설정 후 R1 OSPF 테이블 사진이다.

 

R2(config-router)#default-information originate always

# ABR에서 디폴트 루트 설정 후 내부 라우터인 R1 OSPF 테이블을 보면 모르는 경로는 1.1.1.21 을 통하면 된다는 디폴트 루트가 설정되어 있다.


2) OSPF 인증이란?

OSPF는 링크 상태 기반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이웃 라우터와의 정확한 통신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OSPF에서는 누가 이웃인지, 진짜 맞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인증(Authentication) 기능을 제공합니다.


OSPF 실습 설정
기본 설정
R1(config)#int e0/0
R1(config-if)#ip add 1.1.1.12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R1(config)#int lo0      
R1(config-if)#ip add 1.1.11.1 255.255.255.0
R1(config)#router ospf 1
R1(config-router)#router-id 1.1.11.1
R1(config-router)#network 1.1.11.1 0.0.0.0 area 1
R1(config-router)#network 1.1.1.12 0.0.0.0 area 1
R1(config)#int e0/0
R1(config-if)#ip ospf netwrok point-to-point

네이버 인증 설정
R1(config)#int e0/0
R1(config-if)#ip ospf authentication message-digest 
R1(config-if)#ip ospf message-digest-key 1 md5 cisco
R1(config)#service password-encryption

기본 설정
R2(config)#int e0/0
R2(config-if)#ip add 1.1.1.21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2(config-if)#int e0/1
R2(config-if)#ip add 1.1.2.23 255.255.255.0
R2(config-if)#no shut
R2(config)#int lo0
R2(config-if)#ip add 2.2.22.2 255.255.255.0
R2(config)#router ospf 1
R2(config-router)#router-id 2.2.22.2
R2(config-router)#network 2.2.22.2 0.0.0.0 area 0
R2(config-router)#network 1.1.1.21 0.0.0.0 area 1
R2(config-router)#network 1.1.2.23 0.0.0.0 area 0
R2(config)#int range e0/0-1
R2(config-if)#ip ospf netwrok point-to-point

네이버 인증 설정
R2(config)#int e0/0
R2(config-if)#ip ospf authentication message-digest 
R2(config-if)#ip ospf message-digest-key 1 md5 cisco
R1(config)#service password-encryption
기본 설정
R3(config)#int e0/1
R3(config-if)#ip add 1.1.2.32 255.255.255.0
R3(config-if)#no shut
R3(config-if)#int e0/2
R3(config-if)#ip add 1.1.3.34 255.255.255.0
R3(config-if)#no shut
R3(config)#int lo0
R3(config-if)#ip add 3.3.33.3 255.255.255.0
R3(config)#router ospf 1
R3(config-router)#router-id 3.3.33.3
R3(config-router)#network 3.3.33.3 0.0.0.0 area 0
R3(config-router)#network 1.1.2.32 0.0.0.0 area 0
R3(config-router)#network 1.1.3.34 0.0.0.0 area 2
R3(config)#int range e0/1-2
R3(config-if)#ip ospf netwrok point-to-point

에어리어 인증 설정
R3(config)#router ospf 1
R3(config-router)#area 2 authentication message-digest 
R3(config-router)#exit
R3(config)#int e0/2
R3(config-if)#ip ospf message-digest-key 1 md5 cisco
R3(config)#service password-encryption
기본 설정
R4(config)#int e0/2
R4(config-if)#ip add 1.1.3.43 255.255.255.0
R4(config-if)#no shut
R4(config)#int lo0
R4(config-if)#ip add 4.4.44.4 255.255.255.0
R4(config-router)#router-id 4.4.44.4
R4(config-router)#network 4.4.44.4 0.0.0.0 area 2
R4(config-router)#network 1.1.3.43 0.0.0.0 area 2
R4(config)#int e0/2
R4(config-if)#ip ospf netwrok point-to-point

에어리어 인증 설정
R4(config)#router ospf 1
R4(config-router)#area 2 authentication message-digest 
R4(config-router)#exit
R4(config)#int e0/2
R4(config-if)#ip ospf message-digest-key 1 md5 cisco
R4(config)#service password-encryption

 

OSPF Neighbor 인증

  • 이웃 라우터 간에 직접 인증을 설정해서, OSPF Hello 패킷을 주고받을 때 암호를 확인함
  • Hello 패킷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확인해서 서로 신뢰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인접 형성

🔎 사용 이유

  • 같은 네트워크 내 스푸핑 공격 방지
  • 잘못된 라우터와의 인접 형성 방지
  • 구성 오류 및 보안 강화를 위함

🔎 동작 방식

  • 모든 OSPF Hello 패킷에 Authentication 필드가 포함됨
  • 인증 정보가 다르면 Neighbor 관계 형성 안됨

🔎 실습

service password-encryption 설정 전(좌) 후(우)
R1 e0/0 Authentication 필드 추가됨

네이버 인증은 인접한 인터페이스가 같은 인증방식을 사용해야 네이버가 맺어진다.

OSPF 헬로패킷에 인증 필드가 추가된 모습이다.

 

R1(config)#int e0/0
R1(config-if)#ip ospf authentication message-digest 
R1(config-if)#ip ospf message-digest-key 1 md5 cisco
R1(config)#service password-encryption

# md5 인증을 설정 해도 인터페이스에 들어가보면 평문으로 설정되 있다.

service password-encryption 설정 해줘야 암호화 된다.

MD5는 입력된 값을 고정된 길이의 해시값으로 변환한다.

 

 

OSPF Area 인증

  • 하나의 OSPF Area 전체에 대해 인증을 요구하는 방식
  • Area 내 모든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인증 설정이 필요함
  • ABR가 해당 Area에 인증 요구를 설정하면,
    그 Area에 속한 모든 인터페이스도 인증 사용해야 함

🔎 사용 이유

  • 네트워크 정책에 따라 Area 전체에 보안 일관성 적용
  • 관리가 쉬움 (Area 단위로 적용하니까)

🔎 실습

 

R3(config)#router ospf 1
R3(config-router)#area 2 authentication message-digest 
R3(config-router)#exit
R3(config)#int e0/2
R3(config-if)#ip ospf message-digest-key 1 md5 cisco
R3(config)#service password-encryption

# 양 장비간에 네이버 단절없이 인증 키를 변경하기 위해 MD5 인증 방식에서는 인증키를 여러개 사용할 수 있다.

ex)

ip ospf message-digest-key 1 md5 cisco

ip ospf message-digest-key 2 md5 cisco

각 장비간에 일치하고, 높은 인증키로 인증한다.

 

인증 종류 (OSPF 인증 방식)

인증방식 설명
Null (없음) 인증 안 함
Plain Text (Simple Password) 패스워드가 Hello 패킷에 평문으로 포함
MD5 Authentication 암호화된 메시지 다이제스트 사용

 

Neighbor 인증 vs Area 인증 차이점 정리

항목 Neighbor 인증 Area 인증
적용 범위 특정 인터페이스 (이웃 라우터 단위) 전체 Area
설정 위치 인터페이스 단위로 직접 설정 router ospf + 인터페이스 둘 다 설정
인증 필수 여부 선택 가능 ABR가 area 인증 요구하면 필수
유연성 높음 (부분 적용 가능) 낮음 (전체 적용됨)
일반 사용 상황 단순한 토폴로지에서 부분 인증 보안정책상 전체 일괄 적용 시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GP #1(iBGP,eBGP)  (0) 2025.04.07
OSPF #4(Virtual-link,Demand circuit)  (0) 2025.04.05
OPSF #2(LSA,Stub Area)  (0) 2025.03.30
OSPF #1  (2) 2024.12.07
정적 경로(Static routing)  (2) 202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