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습 요약
학습 내용 | 설명 |
VLAN ID |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분리하기 위한 ID (범위: 1~4094) |
Native VLAN | Trunk 포트에서 태그 없이 전송되는 기본 VLAN (보안 주의 필요) |
Trunk | 여러 VLAN 트래픽을 하나의 링크로 전달하는 방식 |
802.1Q 태깅 | VLAN 식별을 위해 프레임에 태그를 삽입하는 표준 방식 |
2) 이론 설명
(1) VLAN (Virtual LAN)
기능 설명:
-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장비(스위치)를 사용하면서도,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분리해 보안성과 효율을 높일 수 있음
- VLAN 간 통신은 기본적으로 차단되며, L3 스위치 또는 라우터를 통한 Inter-VLAN Routing이 필요함
목적: 부서별 또는 용도별로 네트워크를 나눠서 트래픽 분리 및 보안 강화
VLAN ID 범위: 0과 4095는 예약용, 1은 기본, 1002~1005는 Cisco 예약 VLAN
(2) Trunk
기능 설명:
- 스위치 간 또는 스위치-라우터 간 여러 VLAN의 데이터를 하나의 링크를 통해 전송
- Access 포트는 단일 VLAN만 허용하는 반면, Trunk 포트는 다중 VLAN을 태깅하여 전달함
목적: Access 포트들과 연결된 VLAN 정보를 상위 장비로 유지하며 전달
구성 요소:
- Encapsulation 방식: IEEE 802.1Q (현재 표준 방식), 과거 Cisco 전용 ISL은 폐지됨
- Allowed VLAN: Trunk를 통해 통과시킬 VLAN을 제한적으로 설정 가능 (지정하지 않으면 모든 VLAN이 통과됨)
(3) Native VLAN 이란?
Native VLAN은 802.1Q Trunk 포트에서 태그가 붙지 않은(un-tagged) 프레임이 속한 VLAN입니다.
즉, 태깅되지 않은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 해당 트래픽이 자동으로 Native VLAN에 속하는 것으로 처리됩니다.
1. Legacy 장비 및 비태깅 장비와의 호환
- 구형 장비, 비관리형 스위치, 허브 등은 VLAN 태깅을 지원하지 않음
- 이들 장비로부터 전송된 태그 없는 프레임을 수신하려면, Trunk 포트는 어떤 VLAN으로 처리할지를 알아야 하며 → Native VLAN으로 수신
2. 관리 트래픽 또는 기본 VLAN 설정 용도
- 일부 Cisco 장비는 기본적으로 Native VLAN으로 VLAN 1을 사용하여 CDP, VTP, PAgP 등의 관리 트래픽을 처리
- Native VLAN을 관리 트래픽 전용 VLAN으로 분리 지정하여, 일반 사용자 트래픽과 구분 가능
3. 보안 강화용 분리 대상
- VLAN Hopping 공격 방지를 위해 Native VLAN을 사용자 VLAN과 다른 번호로 지정하는 것이 권장됨
- 예: 사용자 VLAN이 10, 20일 경우 → Native VLAN을 99 또는 999 등으로 설정
(4) 802.1Q 태깅 프레임 구조
태깅 위치:
- Ethernet 헤더와 데이터 사이에 4바이트 길이의 VLAN Tag 삽입
- Access 포트로 나가는 트래픽은 태그가 제거되어 전송되며(untagged), Trunk 포트만 태깅됨
프레임 구조:
주요 필드 설명:
- TPID (Tag Protocol Identifier): 항상 0x8100 → 해당 프레임이 VLAN Tag 포함을 나타냄
- Priority: 0~7까지 QoS(서비스 품질) 우선순위 설정
- CFI: Canonical Format Indicator. 이더넷에서는 보통 0으로 설정
- VLAN ID: 12비트로 구성되어 0~4095 범위의 VLAN 지정 가능 (단, 0과 4095는 예약)
참고:
Cisco 공식 문서 – Understanding VLANs and Trunking
'네트워크 > 기초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10: 네트워크 장비들 (4) | 2025.08.10 |
---|---|
Day 9: 네트워크 프로토콜들 (3) | 2025.08.08 |
Day 7: IPv6 주소 체계 (7) | 2025.08.06 |
Day 6: ARP, MAC, Ethernet 프레임 구조 (2) | 2025.08.02 |
Day 5: HTTPS & SSL (2)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