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SA-2 Tunnel Flapping 발생 원인과 상세 분석

1. 상황의 시작 – 설정 변경의 배경
이번 문제는 단순히 터널이 끊어진 현상이 아니라, 이전 구성 변경 과정에서 생긴 라우팅 우선순위 조정과 OSPF 디폴트 경로 재분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1) 초기 설계 배경
- 본사(HQ)와 지사(JISA)는 VTI 기반 IPSec VPN으로 연결되어 있었고, BGP를 터널 위에 올려서 본사–지사 간 동적 라우팅을 자동화하려는 목표로 구성되었다.
- 지사 내부에서는 OSPF를 사용하여 L2JS-1,2 장비로 디폴트 경로를 내려주는 구조였다.
2) BGP Distance 변경 이유
- JISA-1, JISA-2에서는 OSPF가 동작 중이었고, default-information originate 명령을 통해 L2JS-1,2로 기본 게이트웨이를 배포하였다.
- 이때 JISA-2가 JISA-1로부터 OSPF로 재분배된 디폴트 경로를 받게 되었고, JISA-2의 기본 경로를 BGP를 통해서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다음 명령이 적용되었다:이는 iBGP의 AD 값을 90으로 낮춰서 OSPF(110)보다 우선하게 만든 설정이었다. 즉, BGP 경로를 우선시해 디폴트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려는 조정이었다.
distance bgp 20 90 200
3) 플래핑 발생 과정
- 테스트를 위해 KT 회선을 일부러 다운시켜, SKT 회선을 통한 VTI IPSec VPN 전환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였다.
- 이후 KT 회선을 복구하자, OSPF를 통해 전파된 디폴트 경로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두 JISA 라우터가 동시에 KT 방향(기본 회선) 을 향하게 되었다.
- 하지만 이 시점에서 iBGP의 AD(90)가 OSPF보다 낮아 경로 우선권을 계속 가져가려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BGP가 스스로를 통해 Loopback을 참조하는 불안정한 재귀 구조가 만들어졌다.
- 결과적으로 터널(VTI) 경로와 BGP 세션이 짧은 간격으로 끊겼다 붙는 “Flapping” 현상이 반복된 것.
2. 증상 요약
- JISA-2 라우터의 Tunnel20 인터페이스가 주기적으로 up/down 상태를 반복.
- BGP 세션 로그:

3. 원인 상세 분석
(1) 언더레이 경로(터널 목적지) 유실
- JISA-2에서 Edge-2(60.60.60.9)로 가는 경로가 ISP(SK Telecom) 라우팅에 의존.
- ISP 경로가 순간적으로 사라지면, 터널 목적지 경로도 함께 사라져 Tunnel20 이 down.
- BGP 세션이 터널 위에서 동작하므로 BGP도 동시에 끊김.
(2) iBGP 루프백 재귀 의존
- JISA-1과 JISA-2가 서로의 Loopback(/32)을 iBGP(AD=90)로 학습 중이었다.
- OSPF 경로도 존재하지만, AD가 더 낮은 iBGP가 항상 우선 선택되면서 RIB에 iBGP 경로가 설치됨.
- iBGP 세션이 유지되는 동안은 정상 통신이 가능하지만, 세션이 잠시라도 끊기면 Loopback 경로가 사라지고, 다시 iBGP가 재수립되는 악순환 구조였다.
- 즉, 완전한 루프는 아니지만 세션 상태에 따라 경로가 흔들리는 불안정한 구조였다.
4. 해결 방법
(1) 터널 목적지 고정 (정적 라우트 추가)
JISA-2:
ip route 60.60.60.9 255.255.255.255 65.65.65.2 name TUN20-DST
Edge-2:
ip route 65.65.65.1 255.255.255.255 60.60.60.10 name TUN20-PEER
→ ISP(SK Telecom) 라우팅이 흔들려도 터널 목적지로의 경로는 항상 존재하여 VTI가 안정 유지됨.
(2) iBGP 거리값 원복 (AD 200)
router bgp 64514
no distance bgp 20 90 200
distance bgp 20 200 200
→ 이제 OSPF(AD 110)가 iBGP(AD 200)보다 우선되어 Loopback 경로는 OSPF가 관리. → iBGP는 OSPF 경로를 기반으로 세션을 유지하게 되어 더 이상 자기 참조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3) BGP 세션 재평가
clear ip bgp * soft in
→ 변경된 AD를 반영하여 경로를 재선택.
5. 검증 결과
show ip route 60.60.60.9 -> static, distance 1
show interface tunnel20 -> up/up (안정)
show ip route 192.168.2.5 -> ospf 1, distance 110
→ 플래핑 현상 사라짐.
6. 핵심 요약
| 구분 | 문제 | 원인 | 해결 |
| 터널 다운 | 언더레이 경로 유실 | eBGP 수렴 시 목적지 미해결 | /32 정적 라우트 고정 |
| BGP Reset | iBGP 우선 구조 | AD 90으로 OSPF보다 우선 적용 | iBGP AD=200 복귀 |
| 전체 플랩 | 두 원인 복합 | 경로 재귀 + 세션 우선권 충돌 | 정적 라우트 + AD 수정 |
7. 결론
- iBGP AD를 200으로 복귀시키자 플래핑이 완전히 사라졌다.
- 원인은 iBGP가 OSPF보다 우선권을 가져가면서 경로 재선택이 반복된 것이었다.
- 현재 구조에서는 OSPF가 안정적으로 루프백 도달성을 보장하고, BGP는 OSPF 기반 위에서만 작동하므로 터널 및 세션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