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4: 권한 및 소유권 (파일/디렉토리 퍼미션 관리)
1) 학습 요약표학습 내용설명파일 권한 확인 및 변경chmod(-R, 숫자 모드 400/664/754), 8진수 계산법과 기호 모드(rwx)로 권한 설정소유권/그룹 변경chown(-R), chgrp로 inode의 UID/GID를 변경해 소유권과 그룹을 조정기본 권한 설정umask로 새 파일/디렉토리 생성 시 기본 권한 계산 (666/777 - umask)특수 권한SUID, SGID, Sticky bit의 동작 원리, 표시 방법(s, t), 활용 예시(/usr/bin/passwd, 공유 폴더, /tmp)와 제거 방법권한 표기법 이해숫자 모드(8진수 754 변환법)와 기호 모드(rwx) 해석, ls -l로 확인 2) 이론 설명(1) 파일 권한과 동작 원리리눅스는 각 파일마다 inode에 권한 정보(소유자 ..
2025. 7. 30.
Day 4: List,Dictionary,Set,Tuple 추가 학습
1) LIST1. 리스트(List) 기본 특징리스트는 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자료형으로, 숫자·문자·리스트 등 다양한 자료형을 함께 담을 수 있다.리스트는 대괄호 []로 만든다.data = [1, "apple", 3.14, [10, 20]]print(data)# 결과: [1, 'apple', 3.14, [10, 20]]중첩 리스트 [10,20]도 하나의 인덱스를 차지한다. 2. 인덱싱과 슬라이싱리스트는 인덱스(번호)로 요소를 꺼낼 수 있고, 일부 구간을 잘라내는 슬라이싱도 가능하다.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리스트[n]: n번째 요소에 접근.리스트[a:b]: 인덱스 a부터 b-1까지의 요소를 잘라서 반환.중첩 리스트 접근: 리스트[x][y] 형태로 2단계 접근.fruits = ['apple','..
2025. 7. 26.